- GAPD-7000 Uart 접속 방법 및 결과 2015.10.11
- 간단한 MYO 사용 후기 #gotmyo 2014.12.19
- MDR-1RBT Mk.2 사용기 2014.11.30
- HP Touchpad 공구에 대한 글 2011.08.26
- 본격! 핸드폰 개박살 내기 2010.04.24
- 4천원으로 외장 하드디스크 속도를 2.5배 높이기 2009.05.04
GAPD-7000의 UART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일단 가공이 필요하다. UART 포트의 흔적이 기판에만 존재할 뿐 점퍼 케이블을 꼽을 수 있는 핀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J3라고 적힌) UART 포트 주변에 플럭스를 칠하고, 핀을 납땜 하자.
통신 속도는 115200이며, PuTTY 사용시 Parity와 Flow control 모두 None으로 잡도록 한다. 맨 좌측 부터 Vcc, Tx, Rx, GND 순이며, Vcc, Tx, Rx에 Vcc, Rx, Tx (시리얼 통신이다!) 순으로 연결만 해주면 공유기와 통신이 가능하다. 출력되는 로그를 보면 알 수 있는 것들이 많은데 이것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Broadcom의 CFE를 개조하여 펌웨어를 만들었다는 것을 보고 알 수 있다.
Decompressing...done Decompressing...done CFE version 6.37.14.202 (r411974) based on BBP 1.0.37 for BCM947XX (32bit,SP,) Build Date: Thu Sep 26 17:16:48 KST 2013 (youngho@youngho-desktop) Copyright (C) 2000-2008 Broadcom Corporation. Init Arena Init Devs. Boot partition size = 262144(0x40000) DDR Clock: 389 MHz Info: DDR frequency set from clkfreq=800,*389* et0: Broadcom BCM47XX 10/100/1000 Mbps Ethernet Controller 6.37.14.202 (r411974) et2: Broadcom BCM47XX 10/100/1000 Mbps Ethernet Controller 6.37.14.202 (r411974) CPU type 0x0: 800MHz Tot mem: 131072 KBytes CFE mem: 0x00F00000 - 0x0106C518 (1492248) Data: 0x00F44B5C - 0x00F450B4 (1368) BSS: 0x00F450C0 - 0x00F6A518 (152664) Heap: 0x00F6A518 - 0x0106A518 (1048576) Stack: 0x0106A518 - 0x0106C518 (8192) Text: 0x00F00000 - 0x00F3C4EC (247020) spiflash_info(), d_id:0xC218 v_id:0xC2 sz 0x1000000 (65536 * 256) c_id:53010 c_r ev:1 f3br:2 NVRAM was mapped to the Primary Device eth0: hwaddr 94-FB-B2-2B-10-30, ipaddr 192.168.123.1, mask 255.255.255.0 gateway not set, nameserver not set Booting(1): boot -raw -z -addr=0x8000 -max=0xef8000 flash0.os2: Loader:raw Filesys:raw Dev:flash0.os2 File: Options:(null) Loading: .... 4024832 bytes read Entry at 0x00008000 Closing network. Starting program at 0x00008000 console [ttyS0] enabled, bootconsole disabled serial8250.0: ttyS1 at MMIO 0x18000400 (irq = 117) is a 16550 brd: module loaded loop: module loaded pflash: found no supported devices init_mtd_partitions(), device_id:0xC218 vendor_id:0xC2 sz 0x1000000 (65536 * 256) The first offset=40000, 2nd offset=800000 bcmsflash: squash filesystem found at block 28 bcmsflash: squash filesystem found at block 152 Creating 11 MTD partitions on "bcmsflash": 0x000000000000-0x000000040000 : "boot" 0x000000040000-0x000000800000 : "linux" 0x0000001c8fe4-0x000000800000 : "rootfs" 0x000000800000-0x000000f40000 : "linux2" 0x000000988fb0-0x000000f40000 : "rootfs2" 0x000000f40000-0x000000f70000 : "dwlog" 0x000000f70000-0x000000f90000 : "DLG" 0x000000f90000-0x000000fa0000 : "dvrom" 0x000000fa0000-0x000000fc0000 : "dlog" 0x000000fc0000-0x000000fe0000 : "b_nvram" 0x000000fe0000-0x000001000000 : "nvram" PPP generic driver version 2.4.2 NET: Registered protocol family 24 usbmon: debugfs is not available ehci_hcd: USB 2.0 'Enhanced' Host Controller (EHCI) Driver ehci_hcd 0000:00:0b.1: EHCI Host Controller ehci_hcd 0000:00:0b.1: new USB bus registered, assigned bus number 1 ehci_hcd 0000:00:0b.1: irq 111, io mem 0x18021000 ehci_hcd 0000:00:0b.1: USB 0.0 started, EHCI 1.00 hub 1-0:1.0: USB hub found hub 1-0:1.0: 2 ports detected ohci_hcd: USB 1.1 'Open' Host Controller (OHCI) Driver ohci_hcd 0000:00:0b.0: OHCI Host Controller ohci_hcd 0000:00:0b.0: new USB bus registered, assigned bus number 2 ohci_hcd 0000:00:0b.0: irq 111, io mem 0x18022000 hub 2-0:1.0: USB hub found hub 2-0:1.0: 2 ports detected xhci_hcd 0000:00:0c.0: xHCI Host Controller xhci_hcd 0000:00:0c.0: new USB bus registered, assigned bus number 3 xhci_hcd 0000:00:0c.0: irq 112, io mem 0x18023000 xhci_hcd 0000:00:0c.0: Failed to enable MSI-X xhci_hcd 0000:00:0c.0: failed to allocate MSI entry usb usb3: No SuperSpeed endpoint companion for config 1 interface 0 altsetting 0 ep 129: using minimum values xHCI xhci_add_endpoint called for root hub xHCI xhci_check_bandwidth called for root hub hub 3-0:1.0: USB hub found hub 3-0:1.0: 1 port detected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cdc_acm cdc_acm: v0.26:USB Abstract Control Model driver for USB modems and ISDN adapters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lp Initializing USB Mass Storage driver...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storage USB Mass Storage support registered.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serial USB Serial support registered for generic usbcore: registered new interface driver usbserial_generic usbserial: USB Serial Driver core u32 classifier Actions configured Netfilter messages via NETLINK v0.30. nf_conntrack version 0.5.0 (1951 buckets, 7804 max) ctnetlink v0.93: registering with nfnetlink. xt_time: kernel timezone is -0000 ip_tables: (C) 2000-2006 Netfilter Core Team TCP cubic registered NET: Registered protocol family 10 IPv6 over IPv4 tunneling driver NET: Registered protocol family 17 802.1Q VLAN Support v1.8 Ben GreearAll bugs added by David S. Miller VFS: Mounted root (squashfs filesystem) readonly on device 31:4. devtmpfs: mounted Freeing init memory: 252K /sbin/hotplug2: No such file or directory insmod: ctf.ko: no module by that name found insmod: bcm57xx.ko: no module by that name found insmod: dpsta.ko: no module by that name found insmod: cp210x.ko: no module by that name found wan link 0 ETHER_PORT_PWR_DOWN_UP Hit enter to continue...voice ssid already moved mirror: no dport WARNING: console log level set to 1 NET: Setting vlan1 hw addr to 94:FB:B2:2B:10:31 vlan1: WLC_GET_VAR(cap):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cmd=231: Invalid argument eth1: WLC_SET_VAR(ack_extra_timeout):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sifsdur):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slotdur):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chanspec): Invalid argument eth1: WLC_SET_VAR(bg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a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g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a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g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a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bg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a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avg_dma_xfer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rx_sense_11b):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rx_sense_ofdm): Operation not supported eth1: WLC_SET_VAR(obss_coex):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cmd=231: Invalid argument eth2: WLC_SET_VAR(ack_extra_timeout):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sifsdur):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slotdur):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sscfg:dv_fpage_en):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chanspec): Invalid argument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mpdu_rr_retry_limit_tid):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g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g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g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bg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_m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avg_dma_xfer_rate):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rx_sense_11b):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WLC_SET_VAR(rx_sense_ofdm): Operation not supported eth2: cmd=64: Operation not supported NET: Setting wl0.1 hw addr to 96:FB:B2:2B:10:31 NET: Error setting hw for wl0.1; returned -1 NET: Setting wl1.1 hw addr to 9A:FB:B2:2B:10:31 NET: Error setting hw for wl1.1; returned -1 fblock_init():208 testing /dev/mtd6 fblock_init():215 /dev/mtd6 sz 131072 / 65536 total 2 blk, 1 valid, 1 free total 2 blk, 1 valid, 1 free total rec 45, free_bytes: 127958(cur62430) blk_id: 0 mem stat: cnt2 mx2 bytes192 mx192 cache stat: cnt1 mx1 bytes65536 mx65536 fblock_init():208 testing /dev/mtd5 fblock_init():215 /dev/mtd5 sz 196608 / 65536 total 3 blk, 1 valid, 2 free total 3 blk, 1 valid, 2 free total rec 288, free_bytes: 172000(cur40944) blk_id: 0 mem stat: cnt3 mx3 bytes288 mx288 cache stat: cnt1 mx1 bytes65536 mx65536 /usr/sbin/phymons: No such file or directory SNMP 192.168.123.1:161 succesfully opened. igmp: qintv:60 timeout:150 vlan2: WLC_GET_VAR(cap): Operation not supported dlog: do nv_integrity_check(1) OK vlan2 dhcp iptables: No chain/target/match by that name. iptables: No chain/target/match by that name. killall: udhcpd: no process killed killall: udhcpd: no process killed wlconf: wl0.1_ disabled at wlconf start wlconf: wl1.1_ disabled at wlconf start apmon: No such file or directory Hit enter to continue...00:00:07.226 acsd: scan in progress ... 00:00:10.350 acsd: selected channel spec: 0x1001 wlconf: wl0.1_ enabled at wlconf start-bss 00:00:10.866 acsd: scan in progress ... 00:00:15.553 acsd: selected channel spec: 0xe03a wlconf: wl1.1_ enabled at wlconf start-bss
'일상생활 > 뚱땅뚱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단한 MYO 사용 후기 #gotmyo (9) | 2014.12.19 |
---|---|
MDR-1RBT Mk.2 사용기 (0) | 2014.11.30 |
HP Touchpad 공구에 대한 글 (3) | 2011.08.26 |
본격! 핸드폰 개박살 내기 (0) | 2010.04.24 |
4천원으로 외장 하드디스크 속도를 2.5배 높이기 (0) | 2009.05.04 |
Comments
이렇게 구성이 되어있다. 옆에 지지용 플라스틱이 있는데 이건 미처 못 찍었다.
안에 저렇게 금속으로 된 부분에서 근육 움직임을 포착한다. 착용하면 알겠지만, 심전도 센서 붙이는 느낌
통신 모듈, 근데 블루투스 쓰는 제품 아니였나? 이게 왜 필요할까?
착용 모습. 옷을 좀 널널한걸 입어야할 듯한 느낌이다.
Micro-USB로 충전하고 통신한다.
MYO 프로그램 설치 후 화면
USB에 동글 꼽고, Micro USB로 MYO랑 연결해야한다.
펌웨어 업데이트하는 중. 1분 이내로 걸린다.
MYO의 이름 정하기. Bengi MYO
빼고 착용하랜다. 초기화 과정 좀 길고 지루하다 ㅠ
착용후 이렇게 자국이 남는다. 흠 뭔가 팔뚝에 칩 박힌듯한 모양새...
짧은 리뷰는 여기서 마치고, 이후 MYO를 이용한 프로그램이나 개발 강좌로 글을 다시 뵙기를...
'일상생활 > 뚱땅뚱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PD-7000 Uart 접속 방법 및 결과 (0) | 2015.10.11 |
---|---|
MDR-1RBT Mk.2 사용기 (0) | 2014.11.30 |
HP Touchpad 공구에 대한 글 (3) | 2011.08.26 |
본격! 핸드폰 개박살 내기 (0) | 2010.04.24 |
4천원으로 외장 하드디스크 속도를 2.5배 높이기 (0) | 2009.05.04 |
Comments
요즘 글을 하도 안쓰다보니 어떤식으로 서두를 시작할지 잘 모르겠다. 사실 MMGear 헤드폰 제품 이야기를 꺼내면서 귀는 엄청나게 예민한데 실제로 쓰는건 그저그런 중저가형 제품이나 쓰는 돈에 너무 민감한 사람이었다는 걸 서두로, 처음써보는 30만원대 중고가형 제품이자 블루투스도 되는 그야말로 만능 헤드폰 MDR-1RBT Mk.2라는 이야기를 쓰려고 했으나 필력부족으로 이렇게 본론만 이야기하고 넘어가려고한다.
올레에서 11월 30일까지 MDR-1RBT Mk.2를 5만원 할인하고, 그 할인한 가격에서 또 30%를 세일해주는 행사를 하고 있다. 거기다 올레 회원이라면 성실하게 통신료를 납부하고 있다는 증거이자 쓸데 없어 맨날 쌓이기만하는 올레 별을 써서 또 할인을 받으면 실제로 20만원쯤에 제품을 구입할 수 있다. 블루투스가 없는 모델인 MDR-1R Mk.2 제품이 20만원 중후반대에 가격을 형성하고 있는데, 블루투스가 붙은 녀석이 이것보다 싸게 나온것이다! 헤드폰 제조회사들이 상술인지 뭔지는 모르겠지만, 블루투스가 추가된 제품은 원 제품보다 한 10만원 이상 비싼건 당연하고 그렇게 기능이 좋지도 않은 뭔가 미묘한 것들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블루투스 없는 제품들을 추천하지만, 남자의 로망은 무선 아니던가. 맥북-아이폰-아이팟 삼위일체로 음악 감상을 하고있던 나에게는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제품이 꽤 간절했었고, 이 세일을 발견했을 때 난 아무 생각 없이 카드를 긁었다. 이 제품이 집에 도착하자마자 뭔가 돈 낭비가 엄청났다는 걸 깨닫고 후회를 엄청나게 했지만, 그건 뭐 매번 뭔가를 지를때마다 연례 행사로 치르는 것이였고 뭐 시간이 지나면 잊혀지는 감정 아니던가. 지금 이 리뷰를 쓰고 있는 시점에서는 아깝다는 감정은 티끌만큼도 남아있지 않다.
소니가 헤드폰 사업에서 대박을 터뜨린 제품이 MDR-1R이라는 녀석 때문인데, 이 녀석이 하도 잘 팔리자 제품의 문제점을 개선한 Mk.2란 녀석을 내 놓았고, 그 후에 Mk.2에 블루투스가 붙은 무선 헤드폰을 내놓게 되었다. Mk.1, 그러니까 초기형에도 블루투스 모델이 있긴하지만 그 녀석과 이 녀석은 세부적인 디자인과 음질, 그리고 세부 사양이 다른고로 그렇게까지 비교할 만한것 같지는 않고 그냥 다른 제품으로 보는게 낫지 않나 싶다. 그렇기 때문에 타 제품이랑 비교보다는 MDR-1RBT Mk.1이 갖고 있는 장단점 위주로 사용기를 진행해보려고 한다.
일단, 고급스러운 포장과 헤드폰, 3.5파이 헤드폰용 잭, Micro USB 케이블, 그리고 휴대용 파우치로 된 구성은 나름 알차다면 알차다고 할만하다. 사실 이 제품을 꺼리낌 없이 산 이유 중 하나가 보통 MP3이나 맛폰에서 쓰는 이어폰 줄, 3.5파이 스트레오 잭을 연결해서 음악을 들을 수 있기 떄문이었다. 내장 배터리가 다 떨어져서 블루투스로 음악을 들을 수 없어도 그냥 잭 꼽고 들으면, 약간 선이 거치적거려 불편할지라도 음악은 들을 수 있고, PC방 같은데 가서도 헤드셋 찾으라 뭐하랴 이런 문제도 없을 뿐더러, 블루투스 음질 저하 문제를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정말 이 제품의 장점이다. 또한, 마이크 모듈이 내장되 있어서 음감 도중에 전화가 오면 통화를 할 수 있다던가,우측 측면에 달린 죠그 스틱으로 재생과 앞/뒤를 선택할 수 있다던가, 음량 조절도 나름 간편하다는 것은 장점이라면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음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면, 저음부가 강화됬다는 이야기를 듣고 나름 안심하고 산 녀석이었지만, 역시 소니답게 전체적으로 평평한 느낌이었고, 고음부가 역시 강한 녀석이었다. 좋은 음향기기를 쓰면, 안 들리던 악기가 들린다던지, 하나의 음인줄 알았던 게 사실은 두 악기의 음이었다던지의 농담 반 진담 반으로 하는 소리가 있었는데, 진짜 중저가형 제품 쓰다 이런 중고가형 제품 쓰니까 확연한 차이가 드러난다. 난 내가 듣던 음악에 악기가 하나 더 있을 줄은 생각도 안해봤고 그게 바이올린일 줄은 생각도 못해봤다. 이어버드로 들었을 때에는 바이올린이 1대였는데, 이걸로 들으니 바이올린 2대가 미묘하게 약간씩 다른 소리를 내고 있었다는 걸 알게 되었을 때 충격이란 말로 할 수 없을 정도였다. 하지만 음이 너무 잘 분리되고, 좌 우 스피커 구분이 너무 잘 되다보니 공간감은 꽤 높지만 한 쪽 귀에만 악기소리가 들리는 경우가 종종있다. 예를 들어 Rolling Girl을 들었을 때 보통 전주 파트인 피아노 소리는 약간 오른쪽 귀에서 크게 들릴 줄 알았는데, 이 녀석은 아예 오른쪽에서'만' 피아노 소리가 들린다. 이런 부분은 호불호가 좀 갈릴만한 거 같다. 한 쪽 귀로만 음악들을 건 아니잖아 ㅠㅠ
블루투스의 경우 페어링 및 음질은 괜찮은 편이다. 한 2m 정도 떨어져도 음악이 간혈적으로 끊길 뿐 재생은 잘 되고, 음질도 그렇게 나쁜 편은 아니였다. 그러나 뺴도 박도 못할 문제점이 하나 있는데, 이는 블루투스 페어링이 그렇게 깔끔하게 되어있지 않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맥과 블루투스 연결을 해서 음악을 듣다가 전화가 올 경우 헤드폰으로 전화가 와야하는데 그렇지 않다. 얘가 동시에 멀티디바이스를 관리를 못한다는 치명적인 단점을 갖고 있기 때문인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설정을 좀 만져야하고, 이조차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다. 또한, 블루투스 통화가 된다고 해도 마이크의 위치가 애매한 상황이라 말을 크게 해야하고, 주변 잡음 소리까지 잡아내는 경우가 있다. 얘가 통화용으로는 적당하지 않은 걸 인지를 못했었는데, 직접 통화를 해보고 나니 영 아닌거 같다. 이 말고도 문제가 있는데, 헤드폰에 3.5파이 잭을 연결할 경우 블루투스가 자동적으로 비활성화가 되고, 인풋도 4극이 아닌 3극 -즉 마이크는 사용 불가능- 이었다. 거기에다 3극이니 이어버드에 있는 것처럼 소형 리모컨 같은 건 쓸 수도 없다. 분명 헤드폰에 재생/앞/뒤 버튼이 있고, 음량버튼도 있는데 이는 블루투스에서만 사용할 수 있다는 게 큰 단점이라면 단점이다. 거기다 마이크도 달려있는데 마이크도 쓸 수 없다니! 음향기기 만드는 회사에 뭘 바라겠냐만은 이런 사소한 부분에도 좀 신경을 써줬으면 좀 더 기쁜 마음으로 제품을 썼을 텐데 좀 많이 아쉬운 편이다.
일단 이 녀석 펌웨어 업데이트 같은 걸 할 수 있다면, 맨 먼저 해야할 일은 블루투스 멀티 페어링 제대로 해결하는 것이고, 이 녀석 후속기부터는 좀 4극 3.5파이 단자를 채용해서 좀 더 "쓸모있는" 그리고 "다양한 기능을 갖춘" 녀석이 됬으면 한다. 많은 제품들이 단순히 블루투스 기능 하나 추가하고 끝인데, 그것보다는 블루투스 기능이 추가되면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와 그것들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이것이 적합한가? 라는 걸 고민을 좀 더 해봤으면 한다.
전체적인 평가는 블루투스 모델은 그렇게 메리트가 있는 제품이 아니라는 것이다. MDR-1R은 정말 괜찮은 제품이지만 MDR-1RBT (BT는 아마 블루투스의 약자일 것이다) 는 좀 포지션이 애매한 제품이다. 하지만, 20만원대에 구할 수 있다면야 분명히 정말정말 제 가격을 하는 제품이자 음감을 책임져줄 녀석인건 확실하다. MDR-1R 가격에 블루투스가 된다면 분명 메리트가 있는거 맞다. 그리고 블루투스가 불편하다고 하지만 일단 선에서 해방된다는 것만큼 매력적인 것도 없다는 걸 기억해야한다. 질러라! 지름신이 함께하기를!
'일상생활 > 뚱땅뚱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PD-7000 Uart 접속 방법 및 결과 (0) | 2015.10.11 |
---|---|
간단한 MYO 사용 후기 #gotmyo (9) | 2014.12.19 |
HP Touchpad 공구에 대한 글 (3) | 2011.08.26 |
본격! 핸드폰 개박살 내기 (0) | 2010.04.24 |
4천원으로 외장 하드디스크 속도를 2.5배 높이기 (0) | 2009.05.04 |
Comments
저도 카드 한도가 있고, 신용도라는게 있어서 말입니다.
그리고 지인분들께서는 제대로 읽고 제대로 판단하셔서 입금하고, 배송 방식 결정해주셨으면 합니다.
16G 터치패드를 주로 구매할 생각이며, 32G도 구매 대행을 해주려고는 하지만 못할 가능성이 큽니다.
HP Touchpad가 2차로 풀린다는 소식을 접한 상태입니다. 이미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새로운 물량이 올라온다고 공지 떴습니다. 저도 그거 한 번 노리려고 쇼핑몰 6개를 동시가입하고 대기를 타는 중입니다. 구입을 원하신다면 일단 저에게 쪽지나 댓글 찔러주시면 됩니다. :)
제가 어떤식으로 구매대행을 하는지에 대해서 설명부터 하겠습니다.
1. 공동구매 발주
2. 6개의 쇼핑몰에서 재고 확인
3. 판매 개시시 구매
4. 배송대행지나 미국에 계신분의 집으로 배송 (배송대행지를 이용하면 또 돈이 붙습니다 orz 그래서 미국에 계신분 섭외 중)
5. 한국으로 배송
6. 최종 가격 계산 및 금액 확인.
여기서 문제는 제가 충분한 돈이 없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일단 현실지인의 경우 선금 13만원, 넷지인의 경우 15만원을 받습니다. (반즈앤노블에서 제가 구매했을 때 세금 및 미국내 배송료 포함해서 13만원이 결제가 됬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넷지인 분들에게 15만원을 받는 이유는 현실지인 분들에겐 나중에 받을 (2만원 정도로 예상되는) 미국-한국 배송료 및 통관세까지 한꺼번에 받겠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이 점 양해해주세요. 만일 15만원 이하로 돈이 들었을 경우 터치패드에 그 차액을 동봉할 것이며 (10원 단위까진 무리겠...고 아마 100원단위까지는..) 15만원 이상이라면 뭐 다 개별 통보 해드립니다. 받기 싫으시다면 뭐 제가 돈 부담하는거고요 (먼산) 32G의 경우 15만에 5.5만 추가하시면 되겠습니다.
1. 에서 일단 돈 입금 하시고
2. 와 3. 은 제가 알아서 처리합니다. 1.에서 입금 안하신 분들은 가차없이 구매안합니다. -_-;;
4. 부터 이제 추가적인 비용이 얼마나 들어갈지에 대해서 계산하고 얼마정도 되겠다고 예상을 해
서 보고 하겠습니다.
5. 배송 받은 뒤 개인당 15만원 이하로 돈이 들면 차액을 동봉해서 보내드리고, 15만원 이상이다 하면 추가요금 나왔다고 연락 드리겠습니다.
6. 에서 돈 맞춰보고 끝
이게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입니다.
저의 경우 반즈엔노블즈에서 127달러에 구매했다가 물건이 없어서 오더 캔슬 먹히고 환불 절차 밟고 있습니다. 즉, 타이밍 조금이라도 늦춰지면 망합니다. 망하는 거 보기 싫으니 제대제때에 움직여야합니다.
일단 환율이 올라서 -_-;
현재 $99 짜리 터치패드는 약 11만원 정도하고 있고, 세금이 붙느냐 안붙느냐, 배송비가 얼마인가에 따라서 $99~$129 (혹은 그 이상 -> 11만~ 14만) 정도 들어갈 거 같습니다. 그리고 그게 배대지나 지인 분 집으로 배달이 되서, 다시 그곳에서 한국까지 배송이 됩니다. 배대지의 경우 수수료라던지 각종 절차, 운송료가 꽤 듭니다. 한 2~3만원 정도 나올 거 같습니다. 고로 웬간해서는 지인 분에게 물건 보내는 방식을 쓸 거 같습니다. 그리고 묶어서 구매함으로 수입세가 적용이 되서 10% 추가 요금이 듭니다. 그대신 다행인건 배송비가 절약된다는 것입니다. 즉 세금 좀 더 붙어도 배송비가 1개 구입하는 것보다 상대적으로 덜 들기에 추가 비용은 별로 안 들거라고 생각합니다. (나중에 상황 봐야겠지만요.)
고로 15만원으로 책정한것입니다.
덧) 추가 물량 안나오는 거 같습니다. HP 공홈 제외하고 다 터졌습니다. 월요일 새벽 2시부터 다시 확인해야할 거 같습니다. 주말이 껴있네요 ㅠㅠ
추가로 터치패드 파는 쇼핑몰 있으면 주소 좀 알려주세요 굽신굽신
지금까지 확보한 쇼핑몰 주소 목록입니다.
http://www.walmart.com/cp/1074084?nmxid=39704&nvid=7240393
http://www.pcrichard.com/custserv/content.jsp?pageName=HP&nmxid=39851&nVID=7240393
http://www.officemax.com/home/custom.jsp?id=m2090047&nMXID=40005&nVID=7240393&affcode=perf
http://www.staples.com/cat_SH40_SH40?PID=361116&nMXID=39703&CID=AFF:361116:361116%
http://www.hp.com/united-states/webos/us/en/shopping-touchpad.html
그리고 다른 공구 사이트들 및 터치패드 구입 관련 정보입니다.
http://www.ppomppu.co.kr/zboard/view.php?id=ppomppu4&page=1&sn1&divpage=3&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13975
'일상생활 > 뚱땅뚱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PD-7000 Uart 접속 방법 및 결과 (0) | 2015.10.11 |
---|---|
간단한 MYO 사용 후기 #gotmyo (9) | 2014.12.19 |
MDR-1RBT Mk.2 사용기 (0) | 2014.11.30 |
본격! 핸드폰 개박살 내기 (0) | 2010.04.24 |
4천원으로 외장 하드디스크 속도를 2.5배 높이기 (0) | 2009.05.04 |
Comments
요놈이 B2300 스페어용 부품까지 합치면 3마리다.
나사를 풀자!
이런게 나올꺼다. 액정부분에 톡 튀어나온 것이 액정 연결선인데, 현재 끊긴 상태
이부분이 액정에 연결
이렇게 절단이 되면 액정은 더이상 안ㅋ나ㅋ옴ㅋ -> 이 선 값이 1~2만원한다 고로 꽁폰을 또 사게 될 수도 있다.
'일상생활 > 뚱땅뚱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PD-7000 Uart 접속 방법 및 결과 (0) | 2015.10.11 |
---|---|
간단한 MYO 사용 후기 #gotmyo (9) | 2014.12.19 |
MDR-1RBT Mk.2 사용기 (0) | 2014.11.30 |
HP Touchpad 공구에 대한 글 (3) | 2011.08.26 |
4천원으로 외장 하드디스크 속도를 2.5배 높이기 (0) | 2009.05.04 |
Comments
주의!: eSATA를 지원하는 외장하드에만 적용되는 기술입니다.

eSATA 로 연결할 시 약 85 MB/s가 나온다.

USB로 연결시 약 30MB/s가 나온다.
인터넷에서 Esata 브라켓이라고 치면 SATA를 eSATA로 바꿔주는 물건들이 나올 것입니다. 그걸 사서 컴퓨터의 뒷면에 붙이면 모든게 끝납니다. 그리고, eSATA 포트를 거기에다 연결하면 모든게 끝입니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eSATA에 연결한 외장하드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전원도 같이 내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안 그러면, 컴퓨터가 작동을 멈춰 버립니다.
'일상생활 > 뚱땅뚱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GAPD-7000 Uart 접속 방법 및 결과 (0) | 2015.10.11 |
---|---|
간단한 MYO 사용 후기 #gotmyo (9) | 2014.12.19 |
MDR-1RBT Mk.2 사용기 (0) | 2014.11.30 |
HP Touchpad 공구에 대한 글 (3) | 2011.08.26 |
본격! 핸드폰 개박살 내기 (0) | 2010.04.24 |